[그림동화]
2009-04-01 15:42
Kick-off 이벤트 현장 속으로! "올리볼리 그림동화-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첫 걸음을 내디딘 날!
지난 3월 19일에 있었던 올리볼리 그림동화 kick-off 이벤트
[올리볼리 그림동화 -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 행사 당일의 생생한 모습을 전해드립니다.
함께 행사장으로 들어가보시죠~~!
가나아트센터 포럼스페이스 입구입니다.
비가 올 듯 말 듯 살짝 촉촉하게 젖은 공기, 봄비로 시작되는 봄 처럼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시작이 느껴지는 날씨였습니다.
아직 행사가 시작되기 전이군요~
행사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올리와 볼리 캐릭터입니다.
뒷면은 이렇네요~ 지구별에 숨어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궁금해집니다.
행사장을 거닐어볼까요? 한쪽 벽에는 올리볼리 그림동화로 소개되는 여러 동화책들의 원삽화가 전시되어있고요~
어슬렁 어슬렁 행사장을 반 바퀴 정도 돌았습니다. 반대쪽 벽입니다.
앗... 어디서 많이 보던 그림이죠?
[그림동화 보기] 메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소년과 하늘]의 원삽화가 내용과 함께 전시되어있네요!
하늘을 만지고 싶었던 소년의 모험 이야기를 그림을 좇아가며 읽어봅니다. ^^
한 바퀴 비잉 돌아 입구 쪽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선정한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태국, 필리핀... 등의 그림동화책이 전시되어있어요.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잠바 다쉬돈독 몽골 그림동화 작가입니다. 전시된 본인의 책을 보며 반가워하시네요. ^^
몽골 전통 의상으로 차려입은 다쉬돈독 작가, 멋있죠?
이제 드디어 행사가 시작되는군요!
이 날 사회를 맡은 다음세대재단 방대욱 총괄실장입니다. 재치 있는 사회로 행사 짬짬이 웃음을 주셨습니다. ^^
다음세대재단 문효은 대표의 환영사입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까지 더 많은 나라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올리볼리 그림동화를 만날 수 있게 하는 일, 올리볼리 그림동화를 통해 다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하는 일...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앞으로 펼쳐보이고 싶은 꿈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에 대한 홍보영상을 시청했습니다.
성우 및 컨텐츠 번역으로 참여했던 필리핀 이주여성 말린 씨의 모습이 보이네요~
이 날 행사에는 주한 대사관에서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어요.
커말 프러사드 꼬이랄라 주한네팔대사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다문화사회 한국을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으면 한다는 말씀해주셨습니다.
필리핀의 전래동화를 한국 어린이들 그리고 부모님들과 나눌 수 있게 되어 기쁘다는
루이스 크루즈 주한필리핀대사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리볼리 그림동화는 어떻게 보는 거지??'
올리볼리 그림동화 서비스 이용법에 대한 안내 영상을 시청했습니다.
"왼쪽 하단의 국기 모양 버튼을 누르면 한국어, 영어, 원어 버전을 선택할 수 있어요~"
올리볼리에 힘을 보태주시는 협력단체 분들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해외 홍보에 도움을 주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허 권 본부장입니다.
문화적 다양성을 확산하는 일에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말씀 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탄생하기까지 여러가지로 많은 도움 주신 아시아문화네트워크의
방현석 운영위원장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한국인들의 마음이 이주민 이웃들에게 진정으로 열려있는지 자문해보며, 한국-아시아의 소통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제작 및 해외 네트워킹에 협력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다음세대재단의 MOU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협약식 후, 한국외대 이인영 대외부총장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외국어에 있어 한국외대의 전문성으로 올리볼리 그림동화에 참여하겠다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
마침내~ 기다리던 애니메이션 시연 순서입니다!
몽골 동화 <봉이 일곱 개인 낙타>의 한국어 버전이 상영되었습니다.
몽골의 고비 사막에 사는 소년이 봉이 일곱 개나 되는 낙타를 타고 가족과 함께 동화 나라에 간다는 이야기입니다. 기발한 상상력에 저절로 미소가 머금어집니다. --> 봉이 일곱 개인 낙타 보러가기 (클릭!)
다들 집중하는 분위기~
<봉이 일곱 개인 낙타>의 원작자인 잠바 다쉬돈독 작가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나는 한국에 올 때 여권이 필요했는데, 한국에 와서 보니 내 동화는 여권 없이도 이미 와 있더라. 동화가 이어주는 교류에는 국가의 경계가 필요 없다"는 말씀을 해주셨어요. 축사 후 감동의 박수~
잔에 와인이 모두 채워졌나요?
아시아인권문화연대 부설 다문화교육원 솔에서 베트남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부이 티 투안 씨의 건배 제의가 있었습니다.
마이크 잡으시더니 너무 쑥쓰러워하셨어요~ ㅎ 밝은 모습으로 건배 제의 해주셔서 다른 분들도 모두 함께 기쁜 마음으로 '건배!'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시작을 축하합니다!
자 이제... 뽀너쓰!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저것은 무어야? 궁금하셨을 분들을 위해 소개 나갑니다.
올리와 볼리, 두 캐릭터가 동화책이 온 고향의 전통 의상을 입고 있는 귀여운 인형이랍니다.
올리볼리는 '올록볼록'에서 온 말로, 다양한 세상을 상징하지요.
네팔
몽골
우즈베키스탄
이 밖에도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베트남 옷을 입은 인형들이 각 테이블마다 하나씩 놓여져
행사장의 분위기가 한층 재미있었답니다.
지난 3월 19일에 있었던 올리볼리 그림동화 kick-off 이벤트
[올리볼리 그림동화 -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 행사 당일의 생생한 모습을 전해드립니다.
함께 행사장으로 들어가보시죠~~!
가나아트센터 포럼스페이스 입구입니다.
비가 올 듯 말 듯 살짝 촉촉하게 젖은 공기, 봄비로 시작되는 봄 처럼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시작이 느껴지는 날씨였습니다.
아직 행사가 시작되기 전이군요~
행사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올리와 볼리 캐릭터입니다.
뒷면은 이렇네요~ 지구별에 숨어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궁금해집니다.
행사장을 거닐어볼까요? 한쪽 벽에는 올리볼리 그림동화로 소개되는 여러 동화책들의 원삽화가 전시되어있고요~
어슬렁 어슬렁 행사장을 반 바퀴 정도 돌았습니다. 반대쪽 벽입니다.
앗... 어디서 많이 보던 그림이죠?
[그림동화 보기] 메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소년과 하늘]의 원삽화가 내용과 함께 전시되어있네요!
하늘을 만지고 싶었던 소년의 모험 이야기를 그림을 좇아가며 읽어봅니다. ^^
한 바퀴 비잉 돌아 입구 쪽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선정한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태국, 필리핀... 등의 그림동화책이 전시되어있어요.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잠바 다쉬돈독 몽골 그림동화 작가입니다. 전시된 본인의 책을 보며 반가워하시네요. ^^
몽골 전통 의상으로 차려입은 다쉬돈독 작가, 멋있죠?
이제 드디어 행사가 시작되는군요!
이 날 사회를 맡은 다음세대재단 방대욱 총괄실장입니다. 재치 있는 사회로 행사 짬짬이 웃음을 주셨습니다. ^^
다음세대재단 문효은 대표의 환영사입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까지 더 많은 나라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올리볼리 그림동화를 만날 수 있게 하는 일, 올리볼리 그림동화를 통해 다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하는 일...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앞으로 펼쳐보이고 싶은 꿈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에 대한 홍보영상을 시청했습니다.
성우 및 컨텐츠 번역으로 참여했던 필리핀 이주여성 말린 씨의 모습이 보이네요~
이 날 행사에는 주한 대사관에서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어요.
커말 프러사드 꼬이랄라 주한네팔대사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다문화사회 한국을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으면 한다는 말씀해주셨습니다.
필리핀의 전래동화를 한국 어린이들 그리고 부모님들과 나눌 수 있게 되어 기쁘다는
루이스 크루즈 주한필리핀대사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리볼리 그림동화는 어떻게 보는 거지??'
올리볼리 그림동화 서비스 이용법에 대한 안내 영상을 시청했습니다.
"왼쪽 하단의 국기 모양 버튼을 누르면 한국어, 영어, 원어 버전을 선택할 수 있어요~"
올리볼리에 힘을 보태주시는 협력단체 분들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해외 홍보에 도움을 주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허 권 본부장입니다.
문화적 다양성을 확산하는 일에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말씀 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가 탄생하기까지 여러가지로 많은 도움 주신 아시아문화네트워크의
방현석 운영위원장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한국인들의 마음이 이주민 이웃들에게 진정으로 열려있는지 자문해보며, 한국-아시아의 소통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제작 및 해외 네트워킹에 협력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다음세대재단의 MOU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협약식 후, 한국외대 이인영 대외부총장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외국어에 있어 한국외대의 전문성으로 올리볼리 그림동화에 참여하겠다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
마침내~ 기다리던 애니메이션 시연 순서입니다!
몽골 동화 <봉이 일곱 개인 낙타>의 한국어 버전이 상영되었습니다.
몽골의 고비 사막에 사는 소년이 봉이 일곱 개나 되는 낙타를 타고 가족과 함께 동화 나라에 간다는 이야기입니다. 기발한 상상력에 저절로 미소가 머금어집니다. --> 봉이 일곱 개인 낙타 보러가기 (클릭!)
다들 집중하는 분위기~
<봉이 일곱 개인 낙타>의 원작자인 잠바 다쉬돈독 작가의 축사가 있었습니다.
"나는 한국에 올 때 여권이 필요했는데, 한국에 와서 보니 내 동화는 여권 없이도 이미 와 있더라. 동화가 이어주는 교류에는 국가의 경계가 필요 없다"는 말씀을 해주셨어요. 축사 후 감동의 박수~
잔에 와인이 모두 채워졌나요?
아시아인권문화연대 부설 다문화교육원 솔에서 베트남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부이 티 투안 씨의 건배 제의가 있었습니다.
마이크 잡으시더니 너무 쑥쓰러워하셨어요~ ㅎ 밝은 모습으로 건배 제의 해주셔서 다른 분들도 모두 함께 기쁜 마음으로 '건배!'
올리볼리 그림동화의 시작을 축하합니다!
자 이제... 뽀너쓰!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저것은 무어야? 궁금하셨을 분들을 위해 소개 나갑니다.
올리와 볼리, 두 캐릭터가 동화책이 온 고향의 전통 의상을 입고 있는 귀여운 인형이랍니다.
올리볼리는 '올록볼록'에서 온 말로, 다양한 세상을 상징하지요.
네팔
몽골
우즈베키스탄
이 밖에도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베트남 옷을 입은 인형들이 각 테이블마다 하나씩 놓여져
행사장의 분위기가 한층 재미있었답니다.